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2025 세법개정안 핵심 정리📌 절세하려면 꼭 알아야 할 포인트

by cozydays8 2025. 3. 30.
반응형

 

 

1. 금융투자소득세(금투세) 폐지

2025년부터 금융투자소득세(금투세)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습니다. 금투세는 주식·채권·펀드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해 번 수익에 부과되는 세금으로, 기존에는 국내 주식 수익이 5,000만 원을 넘거나, 해외주식·펀드 수익이 250만 원을 초과하면 20% 세율이 적용됐습니다.

하지만 폐지 결정으로 국내 상장 주식 및 ETF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 부담 없이 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. 단, 해외 주식은 여전히 250만 원 초과 시 22%의 세금(양도세 20% + 지방소득세 2%)이 부과됩니다.

2. 가상자산소득 과세 2년 유예

원래 2025년부터 과세 예정이던 가상자산소득세2027년으로 유예되었습니다. 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에게는 숨통이 트이는 결정이 되었죠.

유예된 세금은 250만 원 초과 수익에 대해 22%의 양도세가 부과되는 방식으로, 준비 기간이 더 주어진 셈입니다.

3. 결혼세액공제 신설 및 자녀세액공제 확대

정부는 저출생 문제 대응을 위해 혼인 시 세액공제를 신설하고, 자녀세액공제도 확대했습니다.

  • 2024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 시, 최대 100만 원 세액공제 (1회 한정)
  • 자녀 1인당 세액공제액 상향:
    • 1명: 15만 → 25만 원
    • 2명: 20만 → 30만 원
    • 3명 이상: 인당 40만 원
  • 출산 및 입양 시:
    • 첫째 30만 원, 둘째 50만 원, 셋째 이상 70만 원

4.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대상에 주식 포함

이제는 토지·건물뿐만 아니라 주식도 이월과세 대상에 포함됩니다. 즉, 부부 간 주식 증여 후 1년 이내 매도 시 양도세가 부과됩니다.

기존에는 이 방식으로 절세가 가능했지만, 올해부터는 제한이 생긴 만큼, 최소 1년 이상 보유 후 매도해야 양도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
5. 그 외 주요 세법 변경사항 요약

  • 청년도약계좌: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 일부 적용 가능
  • 친환경차 개별소비세 감면 연장: 전기차 최대 300만 원, 수소차 최대 400만 원 감면
  • 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 한도 확대: 500만 원 → 2,000만 원
  •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: 감면 기한 2027년까지 연장, 고용 증가 시 최대 100% 감면
  • 소규모 법인세율 상향: 특정 요건 충족 시 9% → 19%로 인상

💡 마무리: 절세 전략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

2025 세법개정안은 단순히 세금 변화 그 이상입니다. 재테크 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주요 전환점이 될 수 있죠. 투자자, 직장인, 자영업자 모두 이번 개정 내용을 숙지하고, 합법적인 절세 방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연말정산 환급 극대화나 절세 계좌 전략이 궁금하다면 관련 포스트도 함께 참고해보세요!

 

 

📚 2025 절세 시리즈 전체 보기

① 2025 세법개정안 핵심 요약

전체 세법 개정 내용을 빠르게 훑고 싶다면 이 글부터 시작하세요.

글 보러가기 →

② 금투세 폐지와 투자자 전략

금융투자소득세 폐지로 달라지는 투자 환경과 절세 팁을 정리했습니다.

글 보러가기 →

③ 자녀·결혼세액공제 완전 정복

2025년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공제 항목 총정리!

글 보러가기 →

④ 가상자산 과세 유예 전략

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세금 유예 기회를 절세 전략으로 활용하는 법

글 보러가기 →

⑤ 주식 이월과세 & 부부 증여 절세 전략

2025년부터는 부부 간 주식 증여를 통한 절세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.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?

글 보러가기 →

© 2025 절세 인사이트 |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

반응형